나의 취미 생활
격물치지(格物致知) 본문
개인 소양 강화를 위해 틈틈이 공부하고자 합니다.
소양 (素養) : 평소 닦아 놓은 학문이나 지식.
정의
중국 남송대의 주희가 『대학장구』에서 사물의 이치를 궁극에까지 이르러
나의 지식을 극진하게 이른다고 제시한 유교 용어
[출처: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(격물치지(格物致知))]
무엇이든 한 가지에 깊이 몰두하고 연구하여 사물의 이치를 깨닫고자 노력하는 방법론
출전
중국 사서(四書)의 하나인 대학(大學)에 나오는 말.
격물(格物), 치지(致知), 성의(誠意), 정심(正心),
수신(修身), 제가(齊家), 치국(治國), 평천하(平天下)의 8조 목으로 된 내용 중,
처음 두 조목을 가리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.
[출처: 나무위키]
중국 사서(四書)
사서(四書)는 유교의 네 가지 기본 경전인 『대학』ㆍ『논어』ㆍ『맹자』ㆍ『중용』을 총칭
참고 자료
격물치지(格物致知) -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(aks.ac.kr)
격물치지(格物致知) -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
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『대학』의 주석인 주희(朱熹)의 『대학장구 大學章句』에 따르면, “사물의 이치를 궁극에까지 이르러 나의 지식을 극진하게 이른다.”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. 격물
encykorea.aks.ac.kr
격물치지 - 나무위키
이 저작물은 CC BY-NC-SA 2.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(단,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)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,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
namu.wiki
격물치지
안녕하세요. 김형이 입니다. 격물치지라는 말을 들어 보셨나요? 시골의사님 강의 방송 중에 나왔던 말인데요. 고전이라면 고리타분하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, 알면 알수록,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
kb-future-2020.tistory.com
사서(四書) - sillokwiki (aks.ac.kr)
사서(四書) - sillokwiki
유교의 네 가지 기본 경전인 『대학(大學)』ㆍ『논어(論語)』ㆍ『맹자(孟子)』ㆍ『중용(中庸)』을 총칭하는 말. 개설 사서(四書)는 유교의 네 가지 기본 경전인 『대학』ㆍ『논어』ㆍ『맹자』
dh.aks.ac.kr
'고사성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맹모삼천(孟母三遷) (0) | 2022.12.29 |
---|---|
교학상장(敎學相長) (0) | 2022.12.27 |
Comments